뚝섬한강공원의 사각지대 회복 및 한강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플로깅, 빗물받이 정화 활동

뚝섬한강공원의 사각지대 회복 및 한강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플로깅, 빗물받이 정화 활동

뚝섬한강공원의 사각지대 회복 및 한강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플로깅, 빗물받이 정화 활동

초록을 거머쥔 우리

초록을 거머쥔 우리

초록을 거머쥔 우리

2025. 7. 22.

복원과정을 들려드릴게요.


7월 22일, 태양이 뜨겁게 내리쬐던 오후 2시 30분, 저희는 생태 복원 활동을 위해 건대입구역에 모였습니다. 먼저 도착한 팀원들이 인근 잡화점과 편의점에 들러 목장갑, 집게, 그리고 더운 날씨에 대비한 팔토시와 온열질환 예방 키트, 쓰레기를 담을 종량제 봉투등을 구매하였였습니다.

모든 준비를 마친 저희는 지하철을 타고 뚝섬한강공원이 있는 자양역으로 향했습니다. 역에서 내려 다 함께 모여 각자 줍깅용 장비를 착용하고, 활동 시작 전의 설렘과 각오를 담아 기념사진을 남겼습니다.

본격적인 활동은 두 명씩 세 팀으로 나뉘어 시작되었습니다. 가장 많은 쓰레기를 줍는 사람에게 시원한 커피를 사주기로 한 작은 내기 덕분에, 모두 즐거운 마음으로 공원 곳곳을 누비며 더욱 열심히 쓰레기를 주웠습니다. 햇살이 강해 땀이 비 오듯 흘렀지만, 평소 즐겨찾던 한강공원을 우리 손으로 직접 가꾼다는 생각에 뿌듯함이 더 컸습니다. 특히 활동 중에 저희를 보신 시민분들께서 "수고 많으십니다"라며 따뜻한 격려의 말씀을 건네주실 때마다 큰 힘을 얻고 감사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활동을 마친 뒤, 가득 채운 쓰레기봉투와 함께 다시 모여 뿌듯한 결과물을 사진으로 남겼습니다. 열심히 땀 흘린 뒤라 허기진 배를 채우기 위해 인근 샌드위치 가게로 향했고, 다들 맛있는 저녁 식사를 즐겼습니다.

식사 후에는 근처 카페에 자리를 잡고 오늘의 활동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논의결과, 가장 많이 발견된 쓰레기는 단연 담배꽁초였으며, 주로 인적이 드문 자전거 도로변이나 시민들이 사용하는 테이블 밑과 같은 '사각지대'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반면 오염이 심할 것으로 예상했던 빗물받이는 의외로 깨끗했습니다.

이 발견을 통해 저희는 앞으로 우리가 직접 확인한 쓰레기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심화된 정화 활동을 기획하고 싶다는 새로운 목표를 세웠습니다. 그렇게 알찬 하루를 마무리하며, 저녁 8시에 보람 가득했던 활동을 모두 종료했습니다.



이렇게 변화했어요!


처음 한강공원에 도착했을 때는 길가나 산책로 주변이 깨끗하게 정돈되어 있어 비교적 청결한 공간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플로깅을 시작하면서 곧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겉보기와 달리 잔디 사이사이, 나무 아래, 그리고 빗물받이 근처 등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는 다양한 쓰레기들이 숨어 있었습니다. 크기가 작은 담배꽁초나 비닐 조각부터 시작해서, 플라스틱 컵, 과자 봉지, 심지어 깨진 소주병까지 그 종류도 매우 다양했습니다. 특히 오래 방치된 쓰레기들은 주변 환경과 색이 비슷해져 쉽게 눈에 띄지 않았고, 그런 쓰레기들을 하나하나 발견하고 주우면서, 우리가 평소에 보지 못했던 한강의 또 다른 얼굴을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플로깅을 통해 단기간에 한강이 눈에 띄게 깨끗해졌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분명히 ‘환경이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사실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쓰레기는 사람의 시야에서만 벗어났을 뿐, 여전히 생태계 어딘가에 남아 오염을 유발하고 있었고, 저희가 그 흔적을 발견해낸 것만으로도 환경의 변화 가능성을 열 수 있다는 희망을 느꼈습니다. 플로깅은 단순한 청소 활동일 뿐만 아니라, 생태적 관심을 환기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기 위한 첫걸음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이런 활동을 더 해나갈거에요.


활동을 통해 파악한 한강 공원의 주요 문제는 분리수거와 담배꽁초 쓰레기였습니다. 뚝섬 한강 공원에는 흡연 부스가 5곳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계단과 산책로 등 이용객이 많은 장소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쓰레기는 담배꽁초였습니다. 또한 노란 수레 형태의 쓰레기통에는 재활용품과 일반쓰레기, 음식물쓰레기가 분리되지 않은 채 함께 버려지고 있었습니다. 앞으로 정기적인 플로깅을 이어가면서 왜 이러한 쓰레기 문제가 계속 반복되는지 고민해보고, 시민들이 올바른 분리수거와 쓰레기 배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찾아갈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