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펀딩 진행중

🌱 펀딩 진행중

🌱 펀딩 진행중

👏 첫 도전

👏 첫 도전

👏 첫 도전

환호해변, 씨피엔스Seapiens- 쓰레기 여정을 담다

환호해변, 씨피엔스Seapiens- 쓰레기 여정을 담다

환호해변, 씨피엔스Seapiens- 쓰레기 여정을 담다

👥

👥

꿈마을학교크루

꿈마을학교크루

📍

📍

경북 포항 환호해변

경북 포항 환호해변

지구보험 블로그

꿈마을학교크루

꿈마을학교크루

의 지구투자 활동을 살펴보세요

의 지구투자 활동을 살펴보세요

지구투자 활동을 살펴보세요

프로젝트 소개

우리팀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해양환경공단의 반려해변 코디네이터기관과 해양재단의 바다꾸러기사업을 진행하는 꿈마을학교입니다.

꿈마을학교가 결성되기 전, 2012년부터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서 미술심리치유 활동을 해왔습니다. 어르신들과 그림을 그리며 공감과 소통의 온도를 느꼈고, 아이들과 함께 ‘배움의 의미는 곧 마음을 나누는 일’임을 깨달았습니다. 이때부터 청소년교육에 관심을 가지며 다양한 활동을 했습니다.

2016년 ‘청소년과 마을이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를 꿈꾸며 <꿈마을학교> 이름으로, 청소년 마을활동가 교육을 하였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마을의 역사와 사람들을 배우고, 그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힘’을 배워왔습니다.

그런데 코로나 이후, 모든 일상이 멈췄습니다.사람이 멀어지고, 자연이 잠시 회복되는 모습을 보며 우리는 문득 ‘환경’의 중요성을 깊이 느꼈습니다.

편리함 속에 놓쳐왔던 일회용 플라스틱의 문제, 그리고 우리 곁의 바다, 해변에 쌓인 쓰레기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 순간 우리는 깨달았습니다. “이제는 사람만이 아니라, 지구와도 공감해야 한다.”

그 마음으로 그런 생각을 하는 크루들이 다시 모였습니다. 마을활동가, 청소년교육가, 교육자, 환경예술을 하는 기획자, 그리고 함께하는 학생들이 모였습니다. 지금은 학생들과 바다와 함께 배우는 "씨피엔스(Seapiens) 탐험대"로서, 지구를 돌보는 ‘쓰레기 여정’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우리팀은 이렇게 구성되어있어요!

안녕하세요. 저희 꿈마을학교는 지역사회 속에서 청소년, 학교,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환경교육·환경예술·해안환경정화 활동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실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환경과 인간의 공존을 배우는 과정이라고 믿습니다. 그래서 교실을 넘어 바다로, 거리로, 마을로 나가 직접 체험하고 행동하는 체감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경교육으로는, 청소년 대상 ‘씨피엔스(Seapiens) 탐험대’ 프로그램을 통해 바다의 가치와 생태 보존을 배우고, 지역 기업과 단체와 협력하여 반려해변 활동, 업사이클 아트 체험, 해양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단순한 정화나 체험이 아니라, 환경 감수성과 공존의 가치를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고 있습니다.

이 팀 대표자 서종숙입니다. 환경교육, 환경예술, 해안환경정화 활동을 기획하여 팀원들과 함께 학교와 청소년들에게 해양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코치 & 활동가로 주경주 선생님과 최호연 선생님은 해안환경정화 활동과 환경예술팀으로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꿈마을학교는 앞으로도 지역과 함께,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 ‘배움과 실천이 연결되는 해양환경과 예술 공동체’로 성장해가겠습니다.

지금까지 이런 활동을 해왔어요.

꿈마을학교는 2016년을공동체를 위한 교육, 학교 연계 인문·예술 프로젝트, 요양병원·요양시설 미술심리치유 활동를 시작으로, 코로나 이후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습니다.

  1. 공동체와 교육에서 출발하다:
    ①청소년 마을활동가 프로그램 운영
    :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며 지역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전승하는 활동 진행.
    ②학교 연계 인문·예술 프로젝트
    : 학생들과 함께 ‘공감과 공존’을 주제로 한 체험형 수업 기획.
    ③요양병원·요양시설 미술심리치유 활동
    : 어르신들과 그림과 대화를 통해 세대 간 교류와 마음 치유 프로그램 운영.


  2. 코로나 이후, 환경의 눈을 뜨다
    ①환경교육 + 예술 + 체험 융합 프로젝트로 확장하다
    ②환경예술 프로그램: 해양부산물을 활용한 업사이클 아트, 전시 기획.
    ③해양환경 교육 프로그램: ‘씨피엔스 Seapiens 탐험대’를 통해 청소년이 직접 해안 정화·데이터 기록
    등 체험형 학습 진행.
    ④ ‘AI 블루 크리에이터’ 양성: 학생들이 미래 해양관련 진로코칭을 위한 과정을 통해 해양 환경을 주제
    로 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우리는 아이들과 마을, 바다와 함께 배우며, ‘환경은 지식이 아니라 태도이자 삶의 방식’이라는 것을 배워왔습니다.
    작은 손길이 모여 바다를 바꾸고, 그 경험이 다시 세상을 바꾸는 여정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팀만의 강점으로 복원해요.

꿈마을학교크루가 가장 잘하는 것은 ‘사람과 장소를 연결하는 감수성으로 행동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환경을 배우거나 가르치는 팀이 아니라, 사람이 자연과 다시 관계를 맺게 만드는 일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팀입니다. 처음 환호해변을 만났을 때, 우리는 도심 속에서도 바다가 살아 숨 쉬는 공간임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 뒤편에는 버려진 플라스틱, 낡은 어망, 생활쓰레기가 쌓여 있었습니다. 그곳은 단순히 ‘오염된 해변’이 아니라, 도시가 남긴 흔적이 머무는 장소였습니다. 우리는 그 현장을 그냥 지나치지 않았습니다. 그곳을 ‘우리의 바다, 우리의 교실, 우리의 마음의 애착장소’로 다시 불러주기 시작했습니다. 청소년들과 함께 쓰레기를 줍고, 그 쓰레기의 여정을 기록하며, 그 속에서 사람이 남긴 흔적을 반성하고 바꾸는 과정을 만들어왔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잘하는 것은, 버려진 것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 쓰레기 속에서 이야기를 발견하며, 그 이야기를 예술과 교육, 실천으로 연결하는 일입니다. 이런 감수성과 실천력은 ‘나만의 장소를 보호하는 활동’과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우리가 지키는 환호해변은 단지 해양정화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이 따뜻하게 머무는 터전이기 때문입니다. 그곳을 돌보는 일은 곧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바꾸는 일, 즉 ‘씨피엔스답게 살아가는 연습’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쓰레기를 줍지만, 사실은 우리의 마음을 다시 주워 담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크루가 가장 잘하는 일이며, 우리가 나만의 장소를 지키는 방식입니다.

우리팀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해양환경공단의 반려해변 코디네이터기관과 해양재단의 바다꾸러기사업을 진행하는 꿈마을학교입니다.

꿈마을학교가 결성되기 전, 2012년부터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서 미술심리치유 활동을 해왔습니다. 어르신들과 그림을 그리며 공감과 소통의 온도를 느꼈고, 아이들과 함께 ‘배움의 의미는 곧 마음을 나누는 일’임을 깨달았습니다. 이때부터 청소년교육에 관심을 가지며 다양한 활동을 했습니다.

2016년 ‘청소년과 마을이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를 꿈꾸며 <꿈마을학교> 이름으로, 청소년 마을활동가 교육을 하였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마을의 역사와 사람들을 배우고, 그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힘’을 배워왔습니다.

그런데 코로나 이후, 모든 일상이 멈췄습니다.사람이 멀어지고, 자연이 잠시 회복되는 모습을 보며 우리는 문득 ‘환경’의 중요성을 깊이 느꼈습니다.

편리함 속에 놓쳐왔던 일회용 플라스틱의 문제, 그리고 우리 곁의 바다, 해변에 쌓인 쓰레기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 순간 우리는 깨달았습니다. “이제는 사람만이 아니라, 지구와도 공감해야 한다.”

그 마음으로 그런 생각을 하는 크루들이 다시 모였습니다. 마을활동가, 청소년교육가, 교육자, 환경예술을 하는 기획자, 그리고 함께하는 학생들이 모였습니다. 지금은 학생들과 바다와 함께 배우는 "씨피엔스(Seapiens) 탐험대"로서, 지구를 돌보는 ‘쓰레기 여정’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우리팀은 이렇게 구성되어있어요!

안녕하세요. 저희 꿈마을학교는 지역사회 속에서 청소년, 학교,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환경교육·환경예술·해안환경정화 활동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실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환경과 인간의 공존을 배우는 과정이라고 믿습니다. 그래서 교실을 넘어 바다로, 거리로, 마을로 나가 직접 체험하고 행동하는 체감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경교육으로는, 청소년 대상 ‘씨피엔스(Seapiens) 탐험대’ 프로그램을 통해 바다의 가치와 생태 보존을 배우고, 지역 기업과 단체와 협력하여 반려해변 활동, 업사이클 아트 체험, 해양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단순한 정화나 체험이 아니라, 환경 감수성과 공존의 가치를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고 있습니다.

이 팀 대표자 서종숙입니다. 환경교육, 환경예술, 해안환경정화 활동을 기획하여 팀원들과 함께 학교와 청소년들에게 해양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코치 & 활동가로 주경주 선생님과 최호연 선생님은 해안환경정화 활동과 환경예술팀으로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꿈마을학교는 앞으로도 지역과 함께,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 ‘배움과 실천이 연결되는 해양환경과 예술 공동체’로 성장해가겠습니다.

지금까지 이런 활동을 해왔어요.

꿈마을학교는 2016년을공동체를 위한 교육, 학교 연계 인문·예술 프로젝트, 요양병원·요양시설 미술심리치유 활동를 시작으로, 코로나 이후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습니다.

  1. 공동체와 교육에서 출발하다:
    ①청소년 마을활동가 프로그램 운영
    :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며 지역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전승하는 활동 진행.
    ②학교 연계 인문·예술 프로젝트
    : 학생들과 함께 ‘공감과 공존’을 주제로 한 체험형 수업 기획.
    ③요양병원·요양시설 미술심리치유 활동
    : 어르신들과 그림과 대화를 통해 세대 간 교류와 마음 치유 프로그램 운영.


  2. 코로나 이후, 환경의 눈을 뜨다
    ①환경교육 + 예술 + 체험 융합 프로젝트로 확장하다
    ②환경예술 프로그램: 해양부산물을 활용한 업사이클 아트, 전시 기획.
    ③해양환경 교육 프로그램: ‘씨피엔스 Seapiens 탐험대’를 통해 청소년이 직접 해안 정화·데이터 기록
    등 체험형 학습 진행.
    ④ ‘AI 블루 크리에이터’ 양성: 학생들이 미래 해양관련 진로코칭을 위한 과정을 통해 해양 환경을 주제
    로 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우리는 아이들과 마을, 바다와 함께 배우며, ‘환경은 지식이 아니라 태도이자 삶의 방식’이라는 것을 배워왔습니다.
    작은 손길이 모여 바다를 바꾸고, 그 경험이 다시 세상을 바꾸는 여정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팀만의 강점으로 복원해요.

꿈마을학교크루가 가장 잘하는 것은 ‘사람과 장소를 연결하는 감수성으로 행동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환경을 배우거나 가르치는 팀이 아니라, 사람이 자연과 다시 관계를 맺게 만드는 일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팀입니다. 처음 환호해변을 만났을 때, 우리는 도심 속에서도 바다가 살아 숨 쉬는 공간임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 뒤편에는 버려진 플라스틱, 낡은 어망, 생활쓰레기가 쌓여 있었습니다. 그곳은 단순히 ‘오염된 해변’이 아니라, 도시가 남긴 흔적이 머무는 장소였습니다. 우리는 그 현장을 그냥 지나치지 않았습니다. 그곳을 ‘우리의 바다, 우리의 교실, 우리의 마음의 애착장소’로 다시 불러주기 시작했습니다. 청소년들과 함께 쓰레기를 줍고, 그 쓰레기의 여정을 기록하며, 그 속에서 사람이 남긴 흔적을 반성하고 바꾸는 과정을 만들어왔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잘하는 것은, 버려진 것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 쓰레기 속에서 이야기를 발견하며, 그 이야기를 예술과 교육, 실천으로 연결하는 일입니다. 이런 감수성과 실천력은 ‘나만의 장소를 보호하는 활동’과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우리가 지키는 환호해변은 단지 해양정화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이 따뜻하게 머무는 터전이기 때문입니다. 그곳을 돌보는 일은 곧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바꾸는 일, 즉 ‘씨피엔스답게 살아가는 연습’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쓰레기를 줍지만, 사실은 우리의 마음을 다시 주워 담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크루가 가장 잘하는 일이며, 우리가 나만의 장소를 지키는 방식입니다.

우리팀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해양환경공단의 반려해변 코디네이터기관과 해양재단의 바다꾸러기사업을 진행하는 꿈마을학교입니다.

꿈마을학교가 결성되기 전, 2012년부터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서 미술심리치유 활동을 해왔습니다. 어르신들과 그림을 그리며 공감과 소통의 온도를 느꼈고, 아이들과 함께 ‘배움의 의미는 곧 마음을 나누는 일’임을 깨달았습니다. 이때부터 청소년교육에 관심을 가지며 다양한 활동을 했습니다.

2016년 ‘청소년과 마을이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를 꿈꾸며 <꿈마을학교> 이름으로, 청소년 마을활동가 교육을 하였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마을의 역사와 사람들을 배우고, 그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힘’을 배워왔습니다.

그런데 코로나 이후, 모든 일상이 멈췄습니다.사람이 멀어지고, 자연이 잠시 회복되는 모습을 보며 우리는 문득 ‘환경’의 중요성을 깊이 느꼈습니다.

편리함 속에 놓쳐왔던 일회용 플라스틱의 문제, 그리고 우리 곁의 바다, 해변에 쌓인 쓰레기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 순간 우리는 깨달았습니다. “이제는 사람만이 아니라, 지구와도 공감해야 한다.”

그 마음으로 그런 생각을 하는 크루들이 다시 모였습니다. 마을활동가, 청소년교육가, 교육자, 환경예술을 하는 기획자, 그리고 함께하는 학생들이 모였습니다. 지금은 학생들과 바다와 함께 배우는 "씨피엔스(Seapiens) 탐험대"로서, 지구를 돌보는 ‘쓰레기 여정’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우리팀은 이렇게 구성되어있어요!

안녕하세요. 저희 꿈마을학교는 지역사회 속에서 청소년, 학교,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환경교육·환경예술·해안환경정화 활동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실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환경과 인간의 공존을 배우는 과정이라고 믿습니다. 그래서 교실을 넘어 바다로, 거리로, 마을로 나가 직접 체험하고 행동하는 체감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경교육으로는, 청소년 대상 ‘씨피엔스(Seapiens) 탐험대’ 프로그램을 통해 바다의 가치와 생태 보존을 배우고, 지역 기업과 단체와 협력하여 반려해변 활동, 업사이클 아트 체험, 해양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단순한 정화나 체험이 아니라, 환경 감수성과 공존의 가치를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고 있습니다.

이 팀 대표자 서종숙입니다. 환경교육, 환경예술, 해안환경정화 활동을 기획하여 팀원들과 함께 학교와 청소년들에게 해양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코치 & 활동가로 주경주 선생님과 최호연 선생님은 해안환경정화 활동과 환경예술팀으로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꿈마을학교는 앞으로도 지역과 함께,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 ‘배움과 실천이 연결되는 해양환경과 예술 공동체’로 성장해가겠습니다.

지금까지 이런 활동을 해왔어요.

꿈마을학교는 2016년을공동체를 위한 교육, 학교 연계 인문·예술 프로젝트, 요양병원·요양시설 미술심리치유 활동를 시작으로, 코로나 이후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습니다.

  1. 공동체와 교육에서 출발하다:
    ①청소년 마을활동가 프로그램 운영
    :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며 지역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전승하는 활동 진행.
    ②학교 연계 인문·예술 프로젝트
    : 학생들과 함께 ‘공감과 공존’을 주제로 한 체험형 수업 기획.
    ③요양병원·요양시설 미술심리치유 활동
    : 어르신들과 그림과 대화를 통해 세대 간 교류와 마음 치유 프로그램 운영.


  2. 코로나 이후, 환경의 눈을 뜨다
    ①환경교육 + 예술 + 체험 융합 프로젝트로 확장하다
    ②환경예술 프로그램: 해양부산물을 활용한 업사이클 아트, 전시 기획.
    ③해양환경 교육 프로그램: ‘씨피엔스 Seapiens 탐험대’를 통해 청소년이 직접 해안 정화·데이터 기록
    등 체험형 학습 진행.
    ④ ‘AI 블루 크리에이터’ 양성: 학생들이 미래 해양관련 진로코칭을 위한 과정을 통해 해양 환경을 주제
    로 한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우리는 아이들과 마을, 바다와 함께 배우며, ‘환경은 지식이 아니라 태도이자 삶의 방식’이라는 것을 배워왔습니다.
    작은 손길이 모여 바다를 바꾸고, 그 경험이 다시 세상을 바꾸는 여정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팀만의 강점으로 복원해요.

꿈마을학교크루가 가장 잘하는 것은 ‘사람과 장소를 연결하는 감수성으로 행동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환경을 배우거나 가르치는 팀이 아니라, 사람이 자연과 다시 관계를 맺게 만드는 일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팀입니다. 처음 환호해변을 만났을 때, 우리는 도심 속에서도 바다가 살아 숨 쉬는 공간임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 뒤편에는 버려진 플라스틱, 낡은 어망, 생활쓰레기가 쌓여 있었습니다. 그곳은 단순히 ‘오염된 해변’이 아니라, 도시가 남긴 흔적이 머무는 장소였습니다. 우리는 그 현장을 그냥 지나치지 않았습니다. 그곳을 ‘우리의 바다, 우리의 교실, 우리의 마음의 애착장소’로 다시 불러주기 시작했습니다. 청소년들과 함께 쓰레기를 줍고, 그 쓰레기의 여정을 기록하며, 그 속에서 사람이 남긴 흔적을 반성하고 바꾸는 과정을 만들어왔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잘하는 것은, 버려진 것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고, 쓰레기 속에서 이야기를 발견하며, 그 이야기를 예술과 교육, 실천으로 연결하는 일입니다. 이런 감수성과 실천력은 ‘나만의 장소를 보호하는 활동’과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우리가 지키는 환호해변은 단지 해양정화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이 따뜻하게 머무는 터전이기 때문입니다. 그곳을 돌보는 일은 곧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바꾸는 일, 즉 ‘씨피엔스답게 살아가는 연습’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쓰레기를 줍지만, 사실은 우리의 마음을 다시 주워 담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크루가 가장 잘하는 일이며, 우리가 나만의 장소를 지키는 방식입니다.

꿈마을학교크루

꿈마을학교크루

꿈마을학교크루

지구보험 상품에 투자해보세요!

지구보험 상품에 투자해보세요!

지구보험 상품에 투자해보세요!

환호해변, 씨피엔스Seapiens- 쓰레기 여정을 담다

환호해변, 씨피엔스Seapiens- 쓰레기 여정을 담다

갤러리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어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어요.

꿈마을학교크루

의 모습이에요.

경북 포항 환호해변

경북 포항 환호해변

, 변화를 기다리고 있어요.

변화를 기다리고 있어요.